2023. 1. 14. 11:36ㆍ이슈
안녕하십니까?
여러 게임 정보들을 알려주는 유노게임월드입니다!
강남 불패는 이젠 옛말..
지난 22년도 9월 기준,
서울 아파트의 가격 평균이
약 4% 정도 하락했다고 합니다
노도강이 평균 6%대로 크게 하락했고,
강남도 약 3% 정도로 상대적으로 적어졌다지만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인한 하락은 피할 수 없었습니다

강남 지역 같은 경우, '강남 불패'란 말이 있을 정도로
크게 하락되는 경우가 없이 오랫동안 유지되어 있었는데요
최고점 대비 약 50% 하락한 아파트가 나오면서
그 타이틀에서 물러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최고점 대비로 이 정도까지 하락한
강남의 아파트는 과연 어디일까요?

1. 디에이치자이개포
1,996세대, 2021년식 신축으로 탄생한 아파트 건물인데요
수인분당선과 3호선 더블 역세권이라는 주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양재천, 일원초, 중동중, 개원중을 끼고 있어서
재건축밭이라 하는 강남에서 신축 메리트로 선호도가 높은 곳이었습니다
그러나 한 조사된 자료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그 저번해에 비해
약 6억원 정도 하락했다고 합니다
(20년 : 30억 36,999만원 > 21년 : 약 24억원)

2. 대치동 은마아파트
약 45년 차 된 구축 아파트인데요
대한민국 사교육 1번지인 대치 학군에 맞게
새롭게 재건축되면서 상징적인 단지로 알려졌습니다
각종 규제가 끊임없이 발목을 잡은 적이 있던 곳이기도 한데요
GTX-C노선 논란이 있어 기존 공사보다
약 250억원을 아낄 수 있다며, 주민들과 싸움이 나기도 했죠
마찬가지로 21년도 기준,
26억 3,500만원에 최고점을 찍었으며
22년도 기준으로는
17억 7,000만원에 최저가를 갱신했습니다
즉, 약 7억 7,000만원 떨어지면서
약 33%의 하락율을 기록했습니다

3. 개포주공 6단지
앞선 건물과 마찬가지로 약 41년 차 된 구축 아파트인데요
조합설립인가를 받은 상태이지만, 매수심리 위축과
간혹 던져지는 급매로 거래되며 하락세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21년도 기준, 28억 5,000만원에 최고가를 찍었다가
22년도 기준, 19억원에 거래되면서
9억 5,000만원 약 33%의 하락율을 보였습니다
이는 4년 전인 19년도의 시세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으며
가격이 갑자기 많이 빠졌기 때문에
시세로는 단정 짓기 어렵지만
확실한 하락세를 확인해 볼 수 있었습니다

4. 일원동 푸른 마을
한 곳만 더 알아보도록 할까요?
이곳도 마찬가지로 앞선 건물들과 똑같이
약 30년 차 된 구축 건물입니다
22년도 기준으로 17억원으로 신 기록을 찍은 후에
갑자기 9억원으로 거래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는 종합부동산세 과세일인 6월 1일 앞두고서
실제로 이뤄진 직거래였기 때문에
가족 간 편법 증여 의혹이 있었던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강남불패라 알려진 강남에서
크게 가격이 하락한 강남의 아파트들을 몇 곳 알아봤습니다
이대로라면 앞으로는 낙폭과 같은 하락세를 피할 수 없이
계속해서 여러 아파트들의 가격들이 내려갈 것으로 보이는데요
직거래지만 정확히 반 토막 난 가격의 건물들도 있으니
혹시나 이런 분야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서 정보를 알아가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좋은 정보 가지고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GTX 노선 개통 예정! 핵심 쟁점은 무엇일까? (0) | 2023.01.18 |
---|---|
2023 설날 트렌드! 귀성객이 줄어들고 오히려 늘어난 이것! (0) | 2023.01.15 |
임대사업자 부활! 앞으로는 이렇게 됩니다 (0) | 2023.01.13 |
임영웅 출연한 CF영상 800만뷰 달성?! (0) | 2023.01.12 |
이효리도 매입한 '신당동', 제2의 힙지로가 된 이유? (1) | 202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