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노선 개통 예정! 핵심 쟁점은 무엇일까?

2023. 1. 18. 10:23이슈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여러 게임 정보들을 알려주는 유노게임월드입니다!


내년 2024년 중으로 개통 예정인

수도권 광역급행 철도인 GTX-A노선

이 노선을 시작으로 B/C도 순차 개통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수도권 출퇴근 시간을 대폭 단축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는

기대감이 특히나 높은 가운데에

개통했을 때 핵심 쟁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다들 궁금증을 쏟아내실 것 같은데요

이번 시간에는 이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출처 : 중앙일보

지난 12월달에 뉴스를 통해 실제 열차 모습이 처음으로 공개되었는데요

고속으로 달리는 만큼,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출입문은 무려 KTX에도 사용되는 단문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중 장애물 감지 센서도 설치되었습니다

 

표정속도 또한 일반 지하철보다 3배 이상 빠른 편이라고 하네요

이를 통해 수도권과 서울을 약 30분대로 연결할 수 있어

수도권의 출퇴근이 훨씬 수월해질 전망입니다

 

이 GTX-A노선은 수서~동탄 구간 순차 개통을 시작으로

하반기 중에는 운정~서울역 구간을,

2025년 하반기 중으로는 전 구간을 개통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중간역인 삼성역은 2028년 중 예정)

 

출처 : 이투데이

내년부터 개통될 예정인 GTX 노선

열차를 이용하는데에는 아무래도 요금도 중요할 수밖에 없는데요

 

GTX노선은 기본 요금에 별도 운임,

여기에 추가 요금이 붙어 책정될 것이라고 합니다

10Km까지의 기본 요금인 1,250원에

별도 운임 1,600원, 추가 요금 5km당 250원씩 추산되어

대화역에서 삼성역까지라고 가정했을 때

약 4,350원으로 산정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개통 직전까지의 누적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여

GTX-A노선의 최종 요금이 정해질 것으로 보이지만

지금의 계산식이라면 편도 최대 5,000원

왕복으로는 약 10,000원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나무위키

그러나 이와는 별개로

여러모로 넘어야 할 산들이 있다고 하는데요


우선 제때 공사를 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것입니다

이미 사업이 확장된 GTX 노선들은 지역민들의 반발과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계획보다 많은 시간을 허비해서

완공이 더 늦어질 수 있다는 얘기인데요

 

실제로 2018년도쯤에 주민들의 반발로

서울 강남 청담동 부근에서

1년여간 공사가 중단된 바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완공 시점도 당초에 올해 중에서

내년으로 연기된 것입니다

 

B노선 또한 재정 구간이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수차례 유찰을 거듭하며 이미 시간이 늦어진 데다가

민자 구간도 최근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위한 절차에 들어서

조기 개통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C노선의 경우에는 은미 아파트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히며

갈등이 장기화되어 2028년 완공조차도 불투명화된 상황입니다

이 외에 다른 노선들도 개괄적인 방향만 제시되었고

사실상 백지에 가까운 상태이기 때문에

최소 수년이 더 걸릴 것으로 전망이 되는 만큼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출처 : 매일건설신문

이렇게 정부도 GTX-A노선의 개통 일자를 최대한으로 당기거나

다른 노선들의 조기 착공 등을 강구하면서

광역교통망의 핵심인 이 노선의 신속한 추친에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건설 속도만 높이고자 무리하게 추진되는 부분이 있어

오히려 걱정하는 시선들이 많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서울과 수도권을 30분대로 연결해 준다는

큰 메리트가 있는 만큼,

만약 개통된다면 수도권 외곽의 교통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장거리 퉁근자들의 교통 부담도 완화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어

결과적으로 성공적인 시대가 열릴 것인지는

관심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저희는 다음 시간에도

좋은 정보 가지고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